
상악만 무치악인 경우의 상악전체임플란트 치료사례입니다.
상악(위턱)이 하악(아래턱)보다 임플란트 식립 시 방향 설정이 더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된 이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상악골의 해부학적 구조: 상악골은 하악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골질이 약하고 해면질 뼈가 많습니다. 이는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한 안정적인 기반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줍니다. 또한, 상악동(부비동)이 상악골에 위치해 있어 임플란트 식립 시 상악동의 손상을 피해야 합니다.
- 상악동의 위치: 상악동은 상악구치부(위어금니) 임플란트 식립 시 큰 장애물입니다. 상악동을 피하면서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기 때문에 방향 설정이 더욱 복잡해집니다. 상악동 거상술과 같은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부정교합의 빈도: 상악은 하악보다 부정교합의 빈도가 높습니다.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 임플란트의 방향과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는 임플란트가 교합력(씹는 힘)을 적절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시야와 접근성: 하악은 비교적 시야와 접근성이 좋지만, 상악은 상대적으로 시야 확보가 어렵고 접근성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상악 후방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환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골 이식의 필요성: 상악은 하악보다 골 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골 이식을 통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충분한 골량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방향 설정이 더욱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 구강 내 근육과 신경: 상악에는 구강 내 근육과 신경의 위치가 다르며, 이들을 피하면서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는 추가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상악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는 더 정밀한 계획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치과 의사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와 개인적인 상황을 면밀히 평가하고, 필요시 CT 스캔과 같은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설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