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갤러리

당신의 치아 문제 95%를 하루에 치료합니다.
하루에치과의 다양한 치료사례를 확인해보세요.

치아 잇몸 근처가 깨지고 시리다면 ‘치경부 파절’

치아가 시려서 자세히 보니 치아와 잇몸경계가 깨져있다면?

치솔질할 때 치아가 시려서 자세히 봤더니 위의 치료전 사진처럼 치아가 패여있나요? 그렇다면 치아가 마모되었거나 파절된 상태일 수 있어요.

약간 파절되거나 마모되었다면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파절이나 마모가 심한 경우에는 치아가 시릴 수 있고, 더 심한 경우에는 치아머리가 통째로 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치료를 해 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위의 환자는 치경부(치아의 목부분) 마모가 아닌 치경부파절의 사례입니다. 치경부마모가 더 흔하기는 하지만 파절도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좀 해 드릴께요.

치경부마모와 치경부파절은 어떻게 다른가요?

1. Abrasion (치경부마모)

  • 원인: 외부의 기계적 마찰
    → 예: 너무 세게 양치질, 단단한 칫솔모, 잘못된 칫솔질 방향

  • 위치: 주로 치경부(잇몸 가까운 부위)

  • 형태: 매끄럽고 U자형 또는 V자형의 패인 홈

  • 특징: 표면이 매끈하며, 여러 치아에서 대칭적으로 나타나기 쉬움

  • 주요 원인 예시:

    • 수평으로 세게 문질러 닦는 칫솔질

    • 연마성 치약 사용

    • 치간 칫솔이나 치실의 잘못된 사용

2. Abfraction (치경부 파절)

  • 원인: 교합력(씹는 힘)에 의한 굴곡 스트레스
    → 치아가 물릴 때 휘는 힘(flexural stress)이 치경부에 집중되어
    법랑질과 상아질이 미세 파절을 일으켜 결손

  • 위치: 잇몸선 바로 위쪽(주로 단일 치아에 국소적으로)

  • 형태: 날카롭고 쐐기모양(V자형), 단단한 경계선

  • 특징: 마찰이 아닌 교합력에 의한 구조적 파절

  • 주요 원인 예시:

    • 이갈이(Bruxism)

    • 편측 저작

    • 교합 불균형

치경부파절 세라믹피스 치료과정

왜 세라믹으로 치료해야 하는가?

치경부마모와 치경부파절 모두 치아의 목부분이 패인 것은 동일하지만 그 원인이 다릅니다. 마모는 반복된 치솔질이 주원인이고, 파절은 교합력이 주원인이 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이렇게 패인 부분을 레진으로 많이 채우게 되는데요. 물론 레진으로도 충분히 잘 견디는 경우도 있지만 지금 보시는 정도의 패임이라면 레진이 탈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치아시림이 심하고 패임이 심하다면 레진이 아닌 세라믹을 이용해서 치료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세라믹을 이용해서 치료하고 나면 탈락가능성도 현저히 줄어들 뿐 아니라 시림증상도 훨씬 더 잘 해결되기 때문입니다.

치경부 마모·치경부 파절 FAQ

A. 치아의 **치경부(치아 뿌리와 크라운 경계 부위)**가 점진적으로 닳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치아 마모, 마찰, 부적절한 칫솔질, 산성 음식 등이 원인입니다.

A. 치아의 치경부가 금이 가거나 깨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치아 마모, 치아에 가해지는 강한 힘(교합 압력, 이를 악무는 습관) 또는 충격이 원인이 됩니다.

  • 치경부 마모: 점진적인 마모로 치아 표면이 얇아지고, 미세한 움푹 들어간 모양이 나타남

  • 치경부 파절: 갑작스러운 금이나 깨짐이 발생, 심한 통증을 동반할 수 있음

A. 마모가 심하면 치아 민감도 증가, 구조 약화, 파절 위험이 높아집니다.
방치하면 결국 치아 기능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요합니다.

  • 작은 금/균열: 레진 수복(Composite Filling)으로 충전

  • 큰 파절: 세라믹피스 

  • 부드러운 칫솔과 올바른 칫솔질

  • 산성 음식 섭취 후 즉시 양치 대신 물로 헹구기

  • 이를 악무는 습관(Bruxism) 관리, 마우스가드 착용

  • 정기적인 치과 검진으로 초기 마모 확인